August 26, 2021 at 2:58 pm
Subscriber
A1. 나노입자들 사이의 pitch를 0으로 고정시키고 개수를 동일하게 설정해준다고 했을 때, 밑변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시뮬레이션 영역이 커지게 되어 동일한 조건에서의 시뮬레이션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만약 이 부분이 동일한 조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한다면 유한한 개수에서는 2D 시뮬레이션이 가능하지만 3D에서는 시뮬레이션 data 용량이 너무 커져서 시뮬레이션이 진행이 안되기때문에 모든 구조가 동일하게 무한한 개수를 가지며 시뮬레이션 시간과 data 용량을 줄일 수 있는 periodic을 생각한 것입니다.
A3. periodic boundary를 x-/y- 방향으로 적용하면 dipole source도 주기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다른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제가 질문드린 점은 dipole source를 가지고 periodic boundary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periodic 효과와 유사하게 설정할 수 있는 boundary condition이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적용을 하면 되는지 입니다.
아래는 현재 나노 입자의 수를 줄이고 symmetry 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data 용량을 줄이며 dipole source에서 periodic 효과와 유사하다고 생각한 boundary condition을 설정한 것입니다.


이 방법으로 했을 때, dipole source에서 periodic boundary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