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nics – Korean

Photonics – Korean

far_field_change_index monitor 관련

    • M19045
      Subscriber

      안녕하세요.

      OLED 관련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OLED에 반사방지 구조를 적용했을 때, 광효율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OLED의 광효율을 확인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세팅으로는 홈페이지에 나온 예시대로 far_field_change_index monitor를 Glass 안에 적용시킨후 T_far2와 dipole source의 dipole_power를 가지고 확인했습니다.(아래 그림.1 참조)

    • Dong Sub Shin
      Ansys Employee
      안녕하세요.
      Far Field Change index monitor의 목적은 유리기판과 같은 두꺼운 오브젝트는 FDTD로 계산을 하는데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모니터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기 매질에서 도착이되는 에너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니터를 기판에 둔 다음 공기 매질에서의 값을 계산하게 되어 있습니다.
      기판의 두께가 충분히 얇은 경우는 그림2와 그림3의 형태와 T를 위한 모니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M19045
      Subscriber
      안녕하세요.
      OLED의 유리기판(두께 1um) 위에 얇은 (1) AR layer를 올리거나 (2) AR 구조를 적용시킬때에는
      (그림.3)과 (그림.4)와 같이 시뮬레이션을 설정하고
      far_field_change_index monitor를 사용하지 말고 DFTMonitor를 사용해야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DFTMonitor 의 T 값을 Dipole power 값으로 나눠서 광효율을 구하면 되는 건가요?)
Viewing 2 reply threads
  • You must be logged in to reply to this topic.